목록노후준비 (5)
메멘토모리의 기독교비평연구소

⸻1. 오늘날 한국 교회의 현실최근 한국교회의 여러 지표를 보면, 조심스럽지만 무거운 변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 예장통합 교단 교인 수:2022년 2,303,443명 → 2023년 2,207,982명 (4.1% 감소) • 예장합동 교단 교인 수:2022년 2,353,344명 → 2023년 2,250,530명 (4.3% 감소) • 예장통합 목사고시 응시자 수:2019년 1,447명 → 2024년 997명 (30% 감소) • 예장합동 강도사 고시 응시자 수:2019년 795명 → 2024년 424명 (약 46% 감소)또한 주요 신학대학원의 신입생 충원율도 평균 85%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이 흐름은 교회와 목회자의 자연 감소를 예고하고 있습니다.⸻2. 연금 시스템의 어려움목회자 연금제도는 선한 의도로 ..

생존이냐 폐쇄냐만 남은 개척교회– 냉정한 통계 속에서 우리가 마주한 현실"하나님이 부르셨으니 나아가면 된다."그 믿음 하나로 수많은 목회자들이 개척교회라는 길에 들어섭니다. 하지만 냉정한 현실은 그 믿음만으로는 버틸 수 없다고 말하고 있습니다.지금 한국 사회에서 개척교회를 시작한다는 것은, ‘생존하느냐, 폐쇄되느냐’의 외줄 타기에 가깝습니다.개척교회, 정말 살아남을 수 있을까?항목수치평균 생존율60~86%자립 성공률약 28%폐쇄율14~40%※ 생존: 교회가 존재함 / 자립: 외부 지원 없이 운영 가능1. 고신총회 조사 (2008~2023) 400개 개척교회 중 344개 생존 (86%) 자립한 교회는 97개 (28%) 미자립 교회 247개 (72%)2. 예장 통합총회 통계 (2006~2021) 개척..

📈 목회자를 위한 현실적인 투자: S&P500, SCHD, 실버이글주화평균 월급이 200만~300만 원 수준인 많은 목회자 분들께“어떻게 소액으로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투자를 할 수 있을까?” 라는 고민은 익숙할 겁니다.이 글에서는 **매달 월급의 10% 또는 20%**를 투자할 경우,30년 후 어떤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투자 구성: 3가지 자산으로 분산 투자투자 자산은 다음과 같이 구성합니다.자산 종류설명🇺🇸 S&P500 ETF미국 대표 기업 500개에 분산 투자하는 대표 ETF🏢 SCHD ETF고배당 우량주 중심 ETF (배당 + 성장 안정성)🪙 실버이글주화미국 정부가 발행한 1온스 은화. 실물 자산으로 보유 가능👉 투자 비율은 S&P500 : SCHD : 실버이..

백석교단은 정말 훌륭한 결단을 내렸다. 자기들의 노후자금을 목사들이 아닌 세상에 맡기기로 한 것이다. 어찌보면 당연한 선택같지만 그 당연한 선택이 이상하게 교회라는 영역에서는 너무나 힘든 선택이 되고 만다. 이로서 백석목사들은 적어도 20-30년정도 노후의 걱정을 미룰 수 있게 되었고 그들의 돈은 국가가 관리하는 연금에 속하게 되었다. 설교에는 돈을 멀리하고 돈은 일만악의 뿌리라 하면서 그들의 돈은 하나님 다음으로 생각하는 그들이 과연 연금으로 쌓인 산더미 같은 돈을 정말 업무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까? 그들이 과연 가룟 유다가 안 될 거라 보장 할 수 있을까? 그리고 이미 교단의 연금은 있는 목사들에게 대출을 쉽게 내주는 뒷구멍으로 전락하고 있기에 난 이미 그곳에 내 노후를 맡기기를 의심하고 있는 중이다..

연금에 대한 기사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한간에 총회의 가장 큰 이슈는 다름아닌 총회장 선거였다. 금권선거이고 이거 하나로 목회자의 영광을 이어나갈 수 있다는 욕심이 난무하던 시기는 이제 지는 꽃처럼 땅에 떨어지고 말았다. 이제는 아무도 누가 총회장이 되는지 관심이 없다. 오로지 관심은 총회연금이다. 이걸 어떻게 알 수 있냐면 모든 교단의 총회에서 가장 마지막 안건으로 다루는 것이 바로 연금이다. 더 뜨겁고 더 성경적이고 더 선지자와 같이 한사람씩 나와 자기 연금을 어떻게 운용할지를 놓고 열정적으로 싸운다. 씨바... 복음을 위해 그렇게 싸워봐라. 목회자들이 목숨을 걸고 연금을 더 받겠다고 난리다. 그런데 지금 목회자의 수는 향수 10년은 저조가 아니라 전무할것이라는 것이 통계의 결과다. 고로 2030..